[미주]여고생, 챗GPT 활용해 상금 17만달러 받아 > 로컬 뉴스

본문 바로가기
미주지역 바로가기 : DallasHoustonDenverCalgary/EdmontonVancouver      Toronto      Atlanta  Chicago  LA  NY  Hawaii  Seattle 

로컬 뉴스

[미주]여고생, 챗GPT 활용해 상금 17만달러 받아

페이지 정보

본문

[뉴시스]미국 버지니아주 북부 페어팩스시의 고등학생 에밀리 오카시오는 14일 챗GPT를 이용한 사회과학 연구로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에서 2등을 차지, 상금 17만5천달러 상금을 받았다.(사진출처 : 미국 워싱턴포스트 갈무리) 



미국의 한 고등학생이 과학경시대회에서 챗GPT를 활용한 언론보도 분석으로 17만5천달러 상금을 받았다.

15일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버지니아주 북부 페어팩스시의 고등학생 에밀리 오카시오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3(ChatGPT)를 사회과학 연구에 활용해 14일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에서 2등을 수상했다.

오카시오는 AI를 사용해 미국에서 발생하는 살인 사건의 언론 보도를 분석, 범인의 인종·성별·연령 등에 따라 언론 보도 경향이 달라지는 문제를 찾아냈다. 연구에 따르면 범인이 흑인·여성·청년일수록 언론은 부정적으로 묘사했다.

그녀는 1976년부터 1984년까지 매사추세츠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의 미 연방수사국(FBI) 데이터, 5000개가 넘는 기사를 수집해 챗GPT에 분석을 넘겼다.

챗GPT 분석 결과, 언론의 살인 사건 보도에 있어 흑인 남성 범인이 백인 남성보다 악의적으로 보도될 가능성이 30% 더 높았다. 또한 흑인 여성 범인도 백인 여성보다 악랄하게 묘사될 가능성이 23% 컸다.

그녀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기존까지 챗GPT는 문장을 만드는데 도움을 받는 것이라 생각했다"며 "하지만 텍스트 분석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어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텍스트를 바라보는 새로운 사회과학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리제네론 과학경시대회는 차세대 과학자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미국 과학경시대회다. 올해는 미국 전역서 1900명 넘는 고등학생이 참가했다. 1900명의 학생 중 결선 진출자는 40명에 불과했다. 그 중에서 오카시오는 챗GPT를 사회과학 영역에 적용해 심사위원들에게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오카시오는 미국 명문대 하버드대학교에 합격해 입학을 앞두고 있다. 

[뉴시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이번호 신문보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팝업레이어 알림